Skip to content
DarkKaiser의 블로그
DarkKaiser의 블로그
  • 개발 관련 자료(노션)
  • Raspberry Pi(노션)
  • WD My Cloud(노션)
  • GitHub
DarkKaiser의 블로그

CListCtrl의 헤더 컨트롤 드래그 & 드랍 및 정렬

DarkKaiser, 2010년 5월 18일2023년 9월 6일
//헤더 컨트롤 드래그-앤-드롭 가능
DWORD dwExStyle = m_List.GetExtendedStyle();
m_List.SetExtendedStyle(dwExStyle | LVS_EX_HEADERDRAGDROP );

// 헤더 컨트롤을 통한 정렬을 가능하도록 한다.
m_bAscending = FALSE;
m_List.SortItems(&CHeadCtrlDemoDlg::CompareItem, (DWORD_PTR)this);
UpdateArrow();

// 헤더 컨트롤의 HDN_ITEMCLICK 메시지 핸들러
void CHeadCtrlDemoDlg::OnHdnItemclickList1(NMHDR *pNMHDR, LRESULT *pResult)
{
  LPNMHEADER phdr = reinterpret_cast<LPNMHEADER>(pNMHDR);

  if(phdr->iItem == 0)
  {
    m_bAscending = !m_bAscending;
    UpdateArrow();
    m_List.SortItems(&CHeadCtrlDemoDlg::CompareItem, (DWORD_PTR)this);
  }

  *pResult = 0;
}

// 헤더 컨트롤 정렬 비교 콜백 함수
int CALLBACK CHeadCtrlDemoDlg::CompareItem(LPARAM lParam1, LPARAM lParam2, LPARAM lParamSort)
{
  CHeadCtrlDemoDlg* pDlg = (CHeadCtrlDemoDlg*)lParamSort;

  LVFINDINFO lvFind1, lvFind2;
  lvFind1.flags= LVFI_PARAM;
  lvFind1.lParam= lParam1;
  lvFind2.flags= LVFI_PARAM;
  lvFind2.lParam= lParam2;

  int nIndex1 = pDlg->m_List.FindItem(&lvFind1);
  int nIndex2 = pDlg->m_List.FindItem(&lvFind2);

  CString strText1 = pDlg->m_List.GetItemText(nIndex1, 0);
  CString strText2 = pDlg->m_List.GetItemText(nIndex2, 0);

  int nResult = 0;
  if(pDlg->m_bAscending)nResult = strText2.Compare(strText1);
  else nResult = strText1.Compare(strText2);

  return nResult;
}

// 헤더 컨트롤의 Up/Down 화살표 변경 함수
void CHeadCtrlDemoDlg::UpdateArrow(void)
{
  CHeaderCtrl* pHeaderCtrl = m_List.GetHeaderCtrl();
  HDITEM hdItem;
  TCHAR szBuffer[256];
  ::ZeroMemory(&hdItem, sizeof(hdItem));
  ::ZeroMemory(szBuffer, 256);

  hdItem.mask = -1;
  hdItem.pszText = szBuffer;
  hdItem.cchTextMax = 256;
  pHeaderCtrl->GetItem(0, &hdItem);

  hdItem.fmt &= ~(HDF_SORTDOWN | HDF_SORTUP);

  if(m_bAscending)hdItem.fmt |= HDF_SORTDOWN;
  else hdItem.fmt |= HDF_SORTUP;
  pHeaderCtrl->SetItem(0, &hdItem);
}
C/C++/VC++

글 내비게이션

Previous post
Next post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최신 글

  • AssertJ 소개testCompile ‘org.assertj:assertj-core:3.6.2’ 2017년 9월 14일
  •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3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2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1 2017년 9월 14일

최신 댓글

    카테고리

    • 개인 자료 (1)
      • 일기 (1)
    • 주절주절 (7)
    • 프로그래밍 갤러리 (16)
    • 프로그래밍 언어 (186)
      • Java (29)
      • C/C++/VC++ (114)
      • C# (11)
      • Visual Basic (6)
      • 안드로이드 (9)
      • Objective-C (5)
      • JavaScript (4)
      • JSP/Servlet (2)
      • Python (4)
      • 어셈블러 (1)
    • 개발++ (44)
      • Book (11)
        • Joel On Software (10)
      • 프로젝트 관리 (6)
      • Maven (1)
      • 디버깅 (1)
      • DirectX (1)
      • Silverlight (1)
      • RESTful (1)
      • Hacking (1)
      • WDM (4)
      • VoIP (5)
      • 기타 (1)
    • 개발 도구 (15)
      • eclipse (14)
      • Sublime Text (1)
    • 네트워크 (7)
    • 설치 및 배포 (7)
      • InstallShield (2)
      • NSIS (4)
    • 버전 관리 (9)
      • Git (2)
      • CVS (2)
      • Subversion (5)
    • 데이터베이스 (7)
      • Oracle (3)
      • Sybase (2)
      • MS-SQL (2)
    • 단위테스트 (3)
      • JUnit (1)
      • NUnit (2)
    • 버그추적시스템 (2)
      • mantis (2)
    • 운영체제 (7)
      • Windows (5)
      • 리눅스 (2)
    • WAS (3)
      • WebLogic (3)
    • 디자인패턴 (1)
    •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16)

    태그

    Abstract ActiveX AfxParseURL Automation DDK DefaultTraceListener delegate devenv.exe event EventLogTraceListener Hover iTextSharp JAD jar maven MDI MFC MSDN mutable NAnt Properties RAW SHGetFolderPath STLFit STLTask TextWriterTraceListener VI volatile watch 권한 기하학 데이터소스 드라이브 문자열 상수 스레드 스레드 동기화 스레드 생성 실용주의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자바빈즈 툴팁 파일포맷 패킷 프리컴파일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2025 DarkKaiser의 블로그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