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arkKaiser의 블로그
DarkKaiser의 블로그
  • 개발 관련 자료(노션)
  • Raspberry Pi(노션)
  • WD My Cloud(노션)
  • GitHub
DarkKaiser의 블로그

Vista 에서 Low Level 권한으로 Process 를 생성시키는 방법

DarkKaiser, 2008년 11월 22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rodream.tistory.com/45

BOOL bRet;
HANDLE hToken;
HANDLE hNewToken;

// Notepad is used as an example
WCHAR wszProcessName[MAX_PATH] = L"C:\\Windows\\System32\\Notepad.exe";

// Low integrity SID
WCHAR wszIntegritySid[20] = L"S-1-16-4096";

PSID pIntegritySid = NULL;

TOKEN_MANDATORY_LABEL TIL = {0};
PROCESS_INFORMATION ProcInfo = {0};
STARTUPINFO StartupInfo = {0};
ULONG ExitCode = 0;

if (OpenProcessToken(GetCurrentProcess(),MAXIMUM_ALLOWED, &hToken))
{
  if (DuplicateTokenEx(hToken, MAXIMUM_ALLOWED, NULL, SecurityImpersonation, TokenPrimary, &hNewToken))
  {
    if (ConvertStringSidToSid(wszIntegritySid, &pIntegritySid))
    {
      TIL.Label.Attributes = SE_GROUP_INTEGRITY;
      TIL.Label.Sid = pIntegritySid;

      if (SetTokenInformation(hNewToken, TokenIntegrityLevel, &TIL, sizeof(TOKEN_MANDATORY_LABEL) + GetLengthSid(pIntegritySid)))
      {
        // Create the new process at Low/High integrity
        bRet = CreateProcessAsUser(hNewToken, NULL, wszProcessName, NULL, NULL, FALSE, 0, NULL, NULL, &StartupInfo, &ProcInfo);
      }

      LocalFree(pIntegritySid);
    }
    CloseHandle(hNewToken);
  }
CloseHandle(hToken);
C/C++/VC++ Vista

글 내비게이션

Previous post
Next post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최신 글

  • AssertJ 소개testCompile ‘org.assertj:assertj-core:3.6.2’ 2017년 9월 14일
  •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3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2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1 2017년 9월 14일

최신 댓글

    카테고리

    • 개인 자료 (1)
      • 일기 (1)
    • 주절주절 (7)
    • 프로그래밍 갤러리 (16)
    • 프로그래밍 언어 (186)
      • Java (29)
      • C/C++/VC++ (114)
      • C# (11)
      • Visual Basic (6)
      • 안드로이드 (9)
      • Objective-C (5)
      • JavaScript (4)
      • JSP/Servlet (2)
      • Python (4)
      • 어셈블러 (1)
    • 개발++ (44)
      • Book (11)
        • Joel On Software (10)
      • 프로젝트 관리 (6)
      • Maven (1)
      • 디버깅 (1)
      • DirectX (1)
      • Silverlight (1)
      • RESTful (1)
      • Hacking (1)
      • WDM (4)
      • VoIP (5)
      • 기타 (1)
    • 개발 도구 (15)
      • eclipse (14)
      • Sublime Text (1)
    • 네트워크 (7)
    • 설치 및 배포 (7)
      • InstallShield (2)
      • NSIS (4)
    • 버전 관리 (9)
      • Git (2)
      • CVS (2)
      • Subversion (5)
    • 데이터베이스 (7)
      • Oracle (3)
      • Sybase (2)
      • MS-SQL (2)
    • 단위테스트 (3)
      • JUnit (1)
      • NUnit (2)
    • 버그추적시스템 (2)
      • mantis (2)
    • 운영체제 (7)
      • Windows (5)
      • 리눅스 (2)
    • WAS (3)
      • WebLogic (3)
    • 디자인패턴 (1)
    •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16)

    태그

    AutoExp.dat C++ CreateFile CruiseControl.NET Effective C++ getProperty HEL ignore파일 Installer Isolation level iterator OSI POST PRODUCTION_MODE RandomAccessFile request RichEditCtrl Runnable SafeInt session startWebLogic.cmd time_t tlb UpdateWindow VC Vector VS2005 네트워크 리치에디트컨트롤 매핑모드 문서화 주석 문자열 분리 변환 사설 IP 성능 실행파일 주석 트레이아이콘 포앵카레 폰트 프로젝트관리 프로파일러 픽셀 형식 확장자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2025 DarkKaiser의 블로그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